ISA 계좌 활용법 (과세이연, 손익통산)

ISA 계좌의 배당소득세가 없을뿐만 아니라 기존 배당소득세 15.4%가 아니라 9.9%의 저이율로 과세를 합니다. 9.9%의 과세를 하는 과정에서 계좌를 해지하고 나서 모든 돈을 찾을 때 9.9%를 분리과세합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해지 시 세금을 가져간다는 겁니다.

ISA 계좌 가입 조건, 계좌 종류, 납입 금액

ISA 계좌 과세이연

일반 계좌에서는 배당소득세가 15.4%가 부과되기 때문에 배당금이 천만 원이 나오면 입금되는 금액이 850만 원입니다.

ISA 계좌를 사용하면 400만 원까지는 배당소득세를 면제해 주기 때문에 배당금액과 입금액이 동일합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400만 원 한도를 넘어선 금액에 대해서도 일단은 배당금과 입금액을 동일하게 9.9% 부과 하지 않고 해지 시에 분기 과세를 합니다.

예를 들어 설명을 하면

일반 계좌에서는 5만 원 배당금이 나온다고 하면 15.4%를 세금으로 가져가서 세금이 부과된 금액에서 모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ISA 계좌에서는 배당금이 들어오면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고 나서도 세금을 내지 않기 때문에 배당금을 모아 갈 수 있습니다.

ISA 계좌 절세 효과
ISA 계좌 절세 효과 (출처- 삼성증권)

복리 효과

복리 효과는 경제 재테크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며 복리의 핵심은 투자 기간과 더불어 투자 금액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는 투자금액에 관련해서 복리에 엄청난 기여를 하게 됩니다.

일반 계좌에서는 배당금이 나올 때마다 15.4%의 세금을 부과했는데 ISA 계좌 같은 경우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고 배당금을 그대로 모아갈 수 있으니깐 투자금액 자체에서부터 차이가 납니다.

복리효과로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더욱 차이가 커지게 됩니다.

정리를 하자면

ISA 계좌를 운영하면서 만기를 원리적으로 무한대로 연장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10, 20년까지 ISA 계좌를 운영을 할 경우 원리적으로 배당소득세를 수십 년간 미루면서

그 미룬 만큼 무한으로 복리효과를 누리면서 투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단리 vs 복리 차이점

손익 통산

손익 통산은 ISA 계좌 내에서 여러 상품의 수익을 합쳐서 세금을 계산하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투자금액이 크신 분들은 비과세나 절세보다 잘 이용하면 많은 금액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국내 주식을 매도할 때 0.3%
  • 배당소득세 15.4%
  • 국내 상장 해외 ETF 15.4%
  • 해외 주식 22%

개별 금융상품마다 세금도 모두 다릅니다.

예를 들어서

국내 주식에서 100만원 이득이고 해외 주식에서 1000만원 손실이라고 한다면

총합이 -900만 원으로 1년 동안 우리가 금융상품을 운영하면서 이득 본 게 없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 세금 체계에서는 국체성이 100만 원 이득 본 거에 대해서만 세금을 부과합니다.

실질적으로 수익은 -900만 원으로 마이너스인데 세금을 내야 하는 억울한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세금 체계는 개별적인 금융상품 분야가 있더라도 모든 것을 통합해서 손익 통산을 따져서 세금을 부과합니다.

한쪽에서 100만 원 이득을 보더라도 다른 쪽에서 1000만 원 손실이 나서 손익 통산이 -900만 원이라면 세금을 부과하지 않습니다.

ISA 중개형 계좌에서는 불합리한 세금 체계와 다르게 손익 통산을 적용시켜 주었다는 측면에서 메리트가 있습니다.

ISA 계좌 손익통산
ISA 계좌 손익통산 (출처- 삼성증권)

ISA 계좌에서는 국내 상장 해외 ETF를 투자할 때 15.4%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9.9%의 저율 과세를 한다고 설명을 했습니다.

하지만 이 9.9%의 과세도 여러 종목이 있을 때 100만 원 이득과 1000만 원 손실이 있을 때

일반 계좌였다면 100만 원 이득만 보고 15.4% 세금을 부과했겠지만

ISA 계좌에서는 손익 통산 -900만 원이라는 손실 때문에 세금을 내지 않습니다.

단순히 국내 상장 해외 ETF와 국내 상장 해외 ETF의 조합으로 같은 종류의 손익 통상만 따져 주는 것뿐만 아니라

국내 사장 해외 ETF가 이득이고 국내 주식이 손실일 경우에도 ISA 계좌 내에서는 손익 통산을 따져서 세금을 부과하게 됩니다.

우리가 주식 투자를 할 때 항상 이득만 보고 있으면 ISA 계좌가 굳이 필요가 없을 겁니다.

하지만 투자를 하면서 손실을 안 본다는 것은 욕심입니다.

손익 통산을 적용해 준다는 측면에서 ISA 계좌에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투자금액이 큰 경우 200만 원이라는 비과세 혜택보다 더 큰 절세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손익 통산 부분입니다.

Leave a Comment